한국일보

[미술 다시보기] 단테의 조각배

2025-08-22 (금) 12:00:00 신상철 / 고려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크게 작게
“지옥의 문은 모든 희망을 버린 자들에게 열려 있다.” 단테 알리기에리가 저술한 중세 문학의 걸작 ‘신곡’에 등장하는 문장이다. 지옥은 단순히 육체적 고통의 장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희망을 잃은 절망의 상태를 상징함을 상기시키는 문구다. 중세 기독교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죽음 후 인간 영혼의 여정과 구원 과정에 관해 탐구하는 단테의 서사시는 서구 많은 작가들에게 예술적 영감을 제공했다. 특히 19세기 낭만주의 화가들은 사후 세계에 대한 우의적 여행담의 형식을 지닌 이 작품에 크게 매료됐다.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돼 있는 ‘단테의 조각배’는 1822년 프랑스 낭만주의 화가 외젠 들라크루아의 의해 제작됐다. 당시 22세의 무명 화가였던 들라크루아의 첫 번째 살롱전 출품작이자 그의 명성이 시작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경제적인 이유로 작품 제작에 필요한 모델을 구할 수 없었던 화가가 루브르에 전시된 대가들의 그림들을 모사하며 단 세 달 만에 작품을 완성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영원한 지옥에 떨어져 표류하는 영혼들의 처절한 모습을 담은 이 작품은 주제의 독특함과 아카데미 규범에서 벗어난 들라크루아만의 독창적인 기법으로 인해 화단의 찬사를 받았다. 루벤스풍의 화려한 색채 기법으로 지옥의 모습을 실감나게 그려냈다는 이유로 ‘벌 받는 루벤스’라는 별칭이 붙여지기도 했다.

<신상철 / 고려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