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입양 기록물들이 냉동 물류창고로 가요”

2025-08-21 (목) 05:17:17 정영희 기자
크게 작게

▶ 아시아 패밀리스, 영구 아카이브 안착 촉구

“입양 기록물들이 냉동 물류창고로 가요”

아시아 패밀리스의 김찬수 고문(왼쪽)과 송화강 대표.

워싱턴 지역 한인 입양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아시아 패밀리스가 한국의 ‘입양 공공화’ 정책에 따라 새 입양법이 시행되면서 기록물 부실보관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영구 아카이브 안착을 촉구했다.

새 법의 시행에 따라 지금까지 홀트 등 민간 입양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던 기록물들이 모두 정부로 이관된다. 그러나 이를 위한 아카이브가 준비되지 않은 채 경기도 고양시의 냉동물류창고의 임시 서고로 옮겨지면서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입양기록물의 정부 이관을 앞두고 입양인들이 올해 결성한 ‘입양기록 긴급행동’(EARS)은 완전하고 투명한 기록 이관으로 입양인들의 뿌리찾기 정보 접근권 보장과 영구 기록관의 조속한 설립을 촉구했다. 기록의 임시 서고 이관 후 ‘디지털화, 맥락화, 체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정부는 향후 입양기록의 전산 데이터 시스템을 새로 구축할 계획이 없기 때문이다.


아시아 패밀리스의 송화강 대표는 “입양기록은 입양인들에게는 친가족을 찾을 수 있는 유일한 단서다. 지난 16년간 많은 입양인들의 가족찾기를 도우면서 자료의 부족으로 입양인들이 자신의 뿌리를 찾지 못하는 안타까운 경우를 많이 봤다”면서 “이제 입양 자료가 정부로 이관되었으니 국가적 차원에서 입양인들의 알 권리가 보장되고 공정하게 보호되며 관리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김찬수 고문도 “입양인들에게는 탯줄 같은 자료가 서고 용도에 맞지 않는 건물로 이관된다는 데에 걱정이 앞선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7일 서울서 열린 설명회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350명 이상의해외입양인들이 온라인으로 참여해 지금까지 입양기관에서 제공하지 않던 파일이 이제는 공유되는지, 친어머니의 편지나 사진, 영상 등 모든 자료가 무사히 이관될지 등을 물었다. 설명회는 ‘입양기록 긴급행동’을 비롯해 전세계 17개국 29개 입양인 단체가 대통령실과 국회,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요청해 마련됐다.

전북대 문헌정보학과 오효정 교수는 “기록 이전과 보존의 궁극적 목적아래, 해외 입양인의 가족찾기를 위해서는 기록의 디지털화 및 온라인 서비스가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영희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