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행은 비교에서 시작된다. 남들이 오, 강남!하는 서초 한복판에 살았어도 아이는 늘 가난하다고 생각했다. 100평 펜트하우스에 사는 친구집에 다녀오면 더 가난해졌다. 엄마, 우리는 언제 이사가? 우린 왜 이렇게 가난해! 그렇지 않다고, 이 정도면 너 어디 가서도 꿀리지 않는다고 주먹 쥐고 일어서!도 아이의 쪼그라든 자존감은 펴지지 않았다. 어디나 그렇겠지만 상대적 박탈과 결핍이 가장 심한 지역일 것이다. 게다가 사회적으론 상당히 부유하다고 인정되는 곳이기에 외부의 인식과 내면의 자각 사이에 너무 큰 괴리가 존재했다. 그러니 유난히 큰 혼돈 속에 괴로울 수 밖에.
그것은 어른도 마찬가지다. 중심을 제대로 잡지 않으면 자존감 바닥에서 헤매게 된다. 할부로 산 명품에 알량한 자존감을 의지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취약해진 마음을 물건이 채워줄리 없다. 그렇게 기죽은 아이와 나를 구원한 것은 공간이었다. 좋은 공간, 아름다운 공간, 바로 도서관과 미술관. 우아하고 교양있는 척하려고 그런 공간을 찾아간 것이 아니라, 절실한 마음으로 찾아들었다는 게 맞겠다. 도서관 책들 사이에서 나를 위한 특별한 문장들을 찾아냈고, 미술관 그림들 앞에서 멋지고 탁월한 나의 뒷모습을 발견해냈다.
누구나 자기 삶을 향유하는 건 아니야. 우리 정말 특별하다! 너무 멋지지 않니? 아이와 그런 대화도 참 많이 했다. 도서관은 책만 읽는 곳이 아니라 무너지는 정신을 고양시켜주는 곳이었다. 미술관은 그림만 보는 곳이 아니라 나를 비추는 거울이고 세상으로 향하는 창이었다. 우리는 좋은 공간 속에서 서서히 회복되어갔다. 공간의 힘은 대단하다. 좋은 공간에 나를 두는 것은 적극적으로 나를 존중하고 사랑하는 행위다. 나는 나를 위해 가장 좋은 것들을 선택할 의무가 있다.
요즘 공공 도서관은 아름다운 건축의 미를 더했다. 깔끔한 책의 배치와 편안하고 감각적인 공간은 삶의 만족도를 확 높여준다. 그러므로 내가 두고두고 누릴 도서관, 미술관은 알아놓는 것이 좋다. 산책 삼아 혹은 약속이 있을 때에도 도서관에서 책장을 넘기거나 그림 앞에 어슬렁거리는 일은 인생의 재미를 찾는 귀한 일이다.
좋은 공간은 가까이 있어야 한다. 휴가철, 멀리 떠나는 것도 좋지만, 근처 도서관, 미술관을 가보자. 굳이 멀리 가지 않아도 찾아보면 집 근처에 다 있다. 도서관에서 꼭 책을 읽지 않아도 된다. 좋은 공간에 있는 나는 좋은 마음을 품는다. 아름다운 공간을 누리는 나는 삶을 향유하는 사람이 된다. 도서관 예찬이 아니다, 미술관 추앙이 아니다, 다만 거기 있는 나의 존재를 당당하게 찬미하란 얘기다! 대체 불가, 비교 불가의 유일하고 고유한 존재인 나를!
<
임지영 (주)즐거운 예감 한점 갤러리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