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아 IQ 검사까지”…빗나간 능력주의
2025-08-14 (목) 12:00:00
▶ 실리콘밸리서 유전검사 유행
▶ ‘시험관시술시 배아 고르기’
▶ “정확도 안 높아·자폐 우려도”
실리콘밸리에서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지능지수(IQ)가 높은 배아를 선별해 이식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1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캘리포니아 베이 지역에서 인간 배아 유전자 검사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현황을 보도했다.
이들 업체는 여러 배아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토대로 미래 IQ 예상치를 측정하고 부모가 시험관 시술에 사용할 배아를 선택하도록 지원한다. 서비스 비용은 6,000달러에서부터 최고 5만 달러에 달하지만 베이 지역 내 수요는 상당한 수준이다.
업체 중 하나인 누클리어스지노믹스의 창업자 키안 사데기는 “실리콘밸리는 IQ를 사랑한다”며 미국 다른 지역보다 실리콘밸리 부모들이 자녀의 높은 지능에 더 집착한다고 전했다. 하버드 의대 통계유전학자 사샤 구세브 교수는 이 현상이 실리콘밸리의 능력주의 문화를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그들은 자신이 똑똑하고 성취를 이뤘으며 좋은 유전자를 보유해 그 자리에 있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제 자녀들도 똑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생긴 셈”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베이 지역 부부들의 배아 선별 과정은 데이터 분석 기법을 동원할 정도로 정교하다. 한 커플은 업체로부터 IQ와 알츠하이머 위험 평가 등이 기재된 결과지를 받고 스프레드시트에 입력해 자체 수식으로 배아를 선택했다.
하지만 생명윤리학자들은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행크 그릴리 스탠포드대 생명과학·법센터장은 “부자들이 수퍼 유전자를 가진 계층을 형성해 모든 것을 차지하고 나머지를 노동자로 부린다는 건 과학소설 이야기”라며 “이게 공정한가”라고 반문했다.
예측 모델을 개발한 샤이 카르미 예루살렘 히브리대 교수는 “가장 높은 IQ를 가진 배아를 선택하는 것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위험이 가장 높은 배아를 선택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