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내각 긴급회의키로… ‘트럼프, 스위스 대통령에 격노’ 보도는 부인
스위스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39%의 고율 관세를 피하기 위해 기존 협상안을 수정하겠다는 의향을 내비쳤다고 3일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기 파르믈랭 스위스 경제장관은 이날 RTS 방송과 인터뷰에서 4일 연방 내각 특별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파르믈랭 장관은 "미국 대통령이 왜 이런 결정을 내렸는지를 완전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며 "그것이 일단 명확해지면 어떻게 할지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간이 촉박하고 (상호관세 발효일인) 7일까지 무언가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는 있지만 (미국에) 선의를 보이고 우리 제안을 수정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르믈랭 장관은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약속, 스위스 기업의 대미 투가 확대 등을 추가 제안 옵션으로 거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스위스산 수입품에 39%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스위스산 시계·제약품·기계류의 최대 수출 시장이어서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
특히 주요국들이 대체로 대미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일정 부분 낮추는 데 성공한 것과 달리, 스위스의 경우 지난 4월 처음 발표한 31%에서 오히려 8%포인트 오른 것이어서 정부와 업계 모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다음 날인 1일 스위스 주식시장이 현지 국경일 공휴일로 휴장했던 만큼, 4일 개장 시 증시에도 충격파가 예상된다.
일부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가 지난달 31일 상품수지 불균형 해소에 '성의'를 보이지 않는 스위스 대통령에게 '격노'했기 때문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파르믈랭 장관은 당시 정상 간 통화가 성공적이지 않았다고 인정하면서도 "(정상 간) 언쟁은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처음부터 완전히 다른 관점을 갖고 있었다"며 해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