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서 돛 펼친 한국 최대 AI 데이터센터, 의미는?
2025-06-21 (토) 12:00:00
김진욱 기자
▶ 장기적 1GW까지 확장 계획
▶ ‘AI 시대의 심장’ AI DC
▶ AI 생태계 핵심 인프라로
이재명 대통령이 울산을 찾은 20일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에 들어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출범식을 열었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가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9월 착공하는 이곳은 총 7조 원을 투입해 2027년 11월까지 41메가와트(MW), 2029년 2월까지 103MW 규모로 짓는다. 장기적으로는 1기가와트(GW)까지 확장할 계획인데 이렇게 될 경우 약 6만 장의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AI 데이터센터는 ‘AI 시대의 심장’ 역할을 한다. 사람의 심장이 온몸에 피를 공급하듯 AI 데이터센터는 AI 서비스와 기술에 필요한 방대한 데이터와 연산기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핵심 인프라다. 기존 데이터센터가 데이터 저장과 중앙처리장치(CPU) 기반의 범용 연산에 특화했다면, AI 데이터센터는 GPU 등을 활용해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처리하는 고성능 컴퓨팅 환경을 제공한다.
AI 모델의 학습과 추론 작업은 범용 데이터센터로는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AI 데이터센터는 AI 시대의 필수재와 다름없다.
이번 프로젝트 장소로 울산이 낙점된 데는 SK의 발전소가 인근에 있다는 점이 결정적이었다. 기존 데이터센터보다 전력 소모가 월등하게 크고, 그만큼 열이 많이 발생하는 AI 데이터센터의 특성상 효율적인 전력 관리·냉각 시스템이 중요한데 인근 SK가스의 액화천연가스(LNG) 열병합발전소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있다는 계산이다. 대규모 전력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 냉각에 LNG 냉열도 활용할 수 있다. LNG는 약 영하 160도의 초저온 상태로 액화 저장되고, 연료로 사용할 때 기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막대한 냉열 에너지가 발생한다.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를 넘어 국내 AI 산업 생태계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수조 원 단위의 자금을 투입해 AI 데이터센터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 등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통해 AI 데이터센터를 대규모로 확장 중이다. 이번에 SK그룹과 손을 잡은 AWS는 물론 구글, 메타 등도 AI 인프라 경쟁에 뛰어들어 최신 AI 알고리즘과 대규모 언어모델(LLM) 학습에 최적화된 환경을 만들고 있다.
<
김진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