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설비 살펴보는 이란 대통령[로이터]
이란 최고지도자인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의 측근이 자국에 파견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을 추방할 수 있다고 10일(현지시간) 경고했다.
아야톨라 하메네이의 정치고문인 알리 샴카니 이란 해군 소장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서 "외부 위협이 계속되고 군사 공격을 받는 상태에 놓이면 IAEA 사찰단을 추방하거나 IAEA와 협력을 중단하는 억제 조처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샴카니 소장은 "농축 물질(우라늄)을 안전한 장소로 옮기는 것도 검토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에 대한 군사행동 가능성을 언급한 데 대한 반발로 풀이된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에게서 관련 질문을 받자 "필요하다면 물론이다, 그렇다"라며 "군사력이 필요하다면 군사력을 사용할 것이며, 이스라엘이 상당히 관여하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또 "우리에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으며, 그들이 핵무기를 가지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라며 "이란이 위대해지기를 바라며, 그들이 가질 수 없는 유일한 것이 핵무기"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8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하루 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 한 내용을 설명하는 영상 성명을 통해 "만일 이란이 회담을 지연시킨다면 군사적 선택지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미국과 이란의 신경전이 가열되면서 이틀 뒤인 오는 12일(현지시간) 중재국 이란에서 열리는 양국의 간접 핵협상에 대해서도 우려가 커진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란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겠다며 이란에 대한 강력한 경제 제재를 통해 상대방을 핵협상 테이블로 유도하는 이른바 '최대 압박' 정책을 펴고 있다.
미국의 맹방 이스라엘은 이 핵협상과 관련해 '리비아 모델'이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2003∼2005년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이 서방과 합의한 '선 핵폐기, 후 보상' 방식으로, 이란은 이를 선호하지 않는다.
이란은 2015년 우라늄 농축과 핵연료 재처리를 제한하는 대신 미국과 유럽연합(EU)이 부과한 제재를 해제하는 조건으로 유엔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 그리고 독일 등 6개국과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를 타결했다.
하지만 3년 뒤인 2018년 도널드 트럼프 1기 미국 행정부는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를 복원했으며, 이란 정권은 이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대한 불신을 거두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