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에서 새로운 ‘악의 제국’으로 불리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가 지급을 유예한 연봉이 무려 10억달러를 돌파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AP 통신은 26일(이하 한국시간) 내부 자료를 인용해 다저스가 2028년부터 2046년까지 8명의 선수에게 지급 유예한 연봉이 10억5천100만달러(약 1조5천억원)라고 보도했다.
특히 2038년과 2039년 다저스가 지급 의무를 진 연봉은 1억9천500만달러(2천800억원)로 최고를 기록했다. 다저스는 지난 2023년 12월 자유계약선수(FA) 오타니 쇼헤이와 메이저리그 역대 최고액인 10년간 7억달러에 계약하는 등 최근 특급 선수들을 끌어모았지만, 사치세를 피하기 위해 선수 연봉을 추후 지급하는 ‘편법’을 동원했다.
오타니에게는 7억달러의 97%인 6억8천만달러를 2034년부터 2043년까지 지급하기로 했다.
다저스의 또 다른 특급 스타인 무키 베츠도 2033∼2044년에 걸쳐 1억2천만달러를 받기로 유예 계약을 맺은 상태다.
지난해 12월 영입한 좌완 투수 블레이크 스넬은 6천600만달러(2035∼2046년)를 지급 유예했고 1루수 프레디 프리먼은 5천700만달러(2028∼2040년), 포수 윌 스미스는 5천만달러(2034년∼2043년), 유틸리티 플레이어 토미 에드먼은 2천500만달러(2037∼2044년)를 나중에 지급받는다.
또한 최근 계약한 투수 태너 스콧은 2천100만달러, 강타자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와는 3천200만달러를 각각 지급 유예했다.
다저스가 연도별로 지급 의무를 지닌 연봉은 2028∼2029년 400만달러, 2030∼2032년 720만달러, 2033년 1천720만달러, 2034년 9천20만달러다.
2035∼2037년에는 9천985만달러, 2038∼2039년에는 1억95만달러로 최고치에 이른다.
2040년에는 987만달러로 대폭 줄었다가 2041∼2043년에는 다시 9천375만달러, 2044년 2천75만달러, 2045년∼2046년 725만달러를 지급해야 한다.
다저스의 이 같은 지급 유예 방식에 놓고 일각에서는 메이저리그 시장을 망치고 있다는 지적이 있지만 최근 롭 맨프레드 MLB 사무국 커미셔너는 “시스템 안에서 하는 계약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두둔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