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스크·베조스·저커버그 등
▶ 총재산 프랑스 GDP 육박
급속한 기술 혁신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한 빅테크 거물들을 필두로 기존의 억만장자와 차별화되는 일군의 ‘초부유층’이 형성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릿저널(WSJ)은 25일 자산정보회사 ‘알트라타’의 자료를 인용, 올해 2월 기준으로 전 세계에 24명의 ‘슈퍼 억만장자’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보도했다. 슈퍼 억만장자는 500억달러 이상의 재산을 가진 이들을 말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4,194억달러로 재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고 제프 베조스 아마존 창업자 2,638억달러,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회장 2,389억달러 등으로 뒤를 이었다. 래리 앨리슨 오라클 회장(2,370억달러),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2,208억달러),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세르게이 브린 공동 창업자(1,605억달러), 스티븐 발머 전 마이크로소프트 CEO(1,574억달러),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1,542억달러)가 4∼8위에 올랐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1,084억달러·13위),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1,060억달러·14위) 등도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슈퍼 억만장자 24명의 총자산은 3조3,000억달러로, 프랑스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에 필적한다. 이들 24명의 합계 자산은 전 세계 억만장자 3,000여명의 재산 중 16%를 차지하는 규모이기도 하다. 또 24명 가운데 16명은 슈퍼 억만장자 기준의 두 배인 1,000억달러 이상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트라타의 분석 책임자인 마야 임버그는 “이제 억만장자 집단 내부에서도 격차가 생겨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슈퍼 억만장자의 주류를 이루는 정체성은 ‘기술 발전으로 큰돈을 번 미국 남성 IT 기업가’로 요약할 수 있다. 상위 10명 가운데 6명이 IT 테크놀로지 관련 기업가이고, 총 24명 가운데 여성은 3명에 불과하다. 미국 밖에 본거지를 둔 이는 7명뿐이다. ‘부의 세습’이 아닌 자수성가를 통해 재산을 일군다는 점도 슈퍼 억만장자의 특징 중 하나다.
그러나 이들의 성공을 자수성가 신화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IT 분야의 느슨한 법망을 이용해 독점적으로 막대한 부를 쌓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