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론 통해 드러난 트럼프·해리스 경제·산업 정책
▶ 트럼프 - 자동차 일자리 감소 사실 아냐, 해리스는 셰일가스 시추 금지
▶해리스 - 부자감세로 재정적자 5조 늘것, 동맹 강화·첨단기술 투자 집중
민주당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경제·산업 정책 부문에서 불꽃 튀는 논쟁을 벌였다. 해리스가 “트럼프 재임 시절 중국에 반도체를 팔아 군사 현대화를 도왔다”고 공격하자 트럼프는 “(최근 몇 년간) 미국은 역사상 최악의 고물가를 경험하고 있다”며 “현 정부가 경제를 파괴했다”고 맞받아쳤다.
10일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 국립헌법센터에서 열린 해리스·트럼프의 첫 TV 토론에서 해리스는 “트럼프 재임 때 미국 반도체를 중국에 파는 상황이 벌어졌다”며 “결국 우리가 가진 기술을 중국을 상대로 판매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자 트럼프는 “중국이 구매한 반도체는 대만산”이라며 “미국은 중국이 가진 철학과 정책 때문에 (대중 수출용) 반도체를 거의 만들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현 정부에서 물가가 엄청나게 올랐다”며 “해리스는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초래한 조 바이든 대통령의 판박이일 뿐”이라고 화살을 돌렸다.
중국에 대한 미국의 입장과 관련해 해리스는 “코로나19 팬데믹 때 트럼프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감사하다’고 했다. 시 주석은 미국에 투명한 코로나19 정보를 공유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날을 세웠다. 또 “대중국 정책은 미국이 21세기 경쟁에서 이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며 “동맹국과의 관계에 집중하고 인공지능(AI)과 양자 컴퓨팅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미국에 기반한 기술 투자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는 “중국은 우리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는데 바이든 행정부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트럼프가 공언한 관세 인상을 놓고도 치열한 공방이 벌어졌다. 해리스는 트럼프의 관세 공약을 두고 “20% ‘트럼프 판매세(Trump sales tax)’를 부과하는 것”이라며 “중산층은 매년 4,000달러를 더 부담하고 재정적자가 5조 달러 증가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트럼프는 모든 수입품에 10~2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고 특히 중국산 수입품에는 6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했는데 이를 직격한 것이다. 트럼프는 자신의 임기 때 관세를 부과했지만 물가는 오르지 않았다며 물가가 전례없는 수준까지 오른 것은 바이든 행정부 때였다고 받아쳤다.
기후변화와 일자리를 놓고도 치열한 설전이 벌어졌다. 해리스는 “트럼프는 기후변화가 가짜라고 말한 적이 있다”며 “하지만 이상기후로 인한 재난으로 집을 잃은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얼마나 실질적인 것인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기금을 투입해 기후변화에 대응할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 때는 자동차 등 제조업 일자리가 줄었다. 그러나 나는 이 기금을 잘 활용해 청정에너지에 투자하고 관련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내 재임 때 자동차 일자리가 사라진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현재 자동차 공장이 해외로 나가고 멕시코 등에서 미국으로 자동차가 역수출되고 있다. 이를 반드시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자신의 임기 때 일자리가 줄어든 것에 대해서는 “코로나19 팬데믹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셰일가스 시추 기술의 일종인 수압 파쇄법(프래킹)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트럼프는 핵심 경합주인 펜실베이니아주의 에너지산업이 프래킹에 의존하는 것을 염두에 둔 듯 “그녀가 선거에서 이기면 펜실베이니아의 프래킹은 (그의 취임) 첫날에 끝날 것”이라고 공격했다. 앞서 해리스는 프래킹 기술이 환경에 피해를 준다며 반대했다가 최근 입장을 바꿔 논란을 빚었는데 이를 문제삼은 것이다.
토론을 앞두고 해리스의 존재감이 약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이를 의식한 듯 해리스는 “자녀세액공제를 확대하고 생애 첫 주택구매자 지원 정책을 펴겠다”며 “스타트업 기업에 세액공제를 해주는 등 중소기업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할 정책 계획이 있다”고 강조했다.
<
서울경제=이태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