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美국무부차관보 “북러 밀착 깊이 우려…무기거래 제재 강화해야”

2024-06-27 (목)
작게 크게

▶ 종전선언 포함 한반도평화법안 질문에 “비핵화 진전 있다면 모든 것 테이블에”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는 27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최근 북러간 군사적 밀착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고 말했다.

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이날 미 하원 외교위원회 아태소위 청문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북러의 군사적 밀착에 대한 미국 정부의 우려 강도를 묻는 말에 "매우 우려한다"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양국의 깊어지는 협력의 가장 최신 상징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북러간 밀착에 대한 미국의 대응과 관련, "우리는 (북한과의) 대화의 문을 결코 협상에서 배제하지 않을 것이며 더 나은 길은 항상 열려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 상황에서는 한국 및 일본과 함께 양자 동맹 및 다자 관계에 기반한 역량을 배가하는 이외에 다른 여지가 없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또한 삼자(한미일) 공조 이외에도 안보 영역에서 국제적 협력을 확대,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 거래와 관련한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이미 억제 역량을 확대하고 있지만, 미국은 동맹과 함께 북한에 대한 억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북한에 대해 "대화의 문이 열려있다는 점은 거듭 강조한다"면서 "불행히도 현재까지 평양이 우리에게 준 답변은 미사일 발사와 추가적인 도발 행위뿐"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종전선언 등을 포함한 한반도평화법안 발의를 주도한 민주당 브레드 셔먼 의원의 해당 법안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만약 우리가 평양과 정규적인 대화 채널을 가지고 있고, 한반도 비핵화에 있어 진전을 이룰 수 있다면 모든 것이 테이블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한미일 삼국 공조에 대해선 "3국의 공조는 직접적으로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는 일"이라며 "우리의 초점은 한미일 3국이 어떻게 인도태평양 지역에 가시적인 혜택을 가져올 수 있느냐에 맞춰져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