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의학카페] “치매 방지하려면 오래 앉아있지 말고 활동해야”

2023-09-14 (목) 12:00:00
크게 작게

▶ “노인 하루 앉아있는 시간 10시간 넘으면 위험 급증”

60세 이상 고령층이 TV를 보거나 운전하는 것처럼 어떤 형태로든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치매에 걸릴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USC 데이비드 라이클렌 교수팀은 13일 의학저널 ‘미국의학협회지’(JAMA)에서 영국의 생의학 데이터베이스(DB)를 분석한 결과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하루 10시간 이상인 경우 치매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라이클렌 교수는 앉아있는 행동의 횟수나 방식보다 하루 동안 총 앉아있는 시간이 치매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미국인들이 하루 평균 9.5시간을 앉아서 생활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주목할만한 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많은 사람이 30분 정도마다 일어서거나 걸어 다니면서 오래 앉아 있는 습관을 깨라는 말을 알고 있다”며 앉아 있는 행동은 질환 및 사망률과 관련이 있지만 치매와의 관련성은 명확하지 않았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연구팀은 영국의 대규모 생의학 DB인 영국 바이오뱅크(U.K.Biobank) 중 10만명 이상 성인의 움직임을 손목 착용형 가속도계로 일주일 동안 하루 24시간 측정한 데이터를 사용해 앉아서 생활하는 행동과 치매 위험 간 연관성을 분석했다.

먼저 연구 시작 시점에 치매 진단을 받지 않은 60세 이상 4만9,841명(평균연령 67.2세)의 측정값에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을 적용, 하루 신체 활동을 앉아있는 행동과 수면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했다.

이어 이들의 입원 환자 병원 기록과 사망 등록 데이터를 사용해 평균 6.7년 동안 치매 진단 여부를 추적 관찰, 414건의 치매 양성 사례를 발견했다.

그 결과 하루 앉아있는 시간 9.27시간(중앙값)을 기준으로 10시간 앉아있는 사람은 치매 위험비(HR)가 1.08, 12시간은 1.63, 15시간은 3.21로 급격히 높아졌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