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비용 폭등에 노숙자 11%↑, 팬데믹 보호조치 중단도 한몫
2023-08-16 (수) 12:00:00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끝난 뒤 노숙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 미국의 노숙자 수가 지난해에 비해 1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연방 정부가 노숙자와 관련한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팬데믹 기간 집계가 중단된 탓에 기술적으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던 지난해를 제외하고, 지금껏 가장 컸던 노숙자 증가 폭은 지난 2019년의 2.7%였다. WSJ이 취합한 300여개 노숙자 관련 기관 자료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 단 하루라도 노숙을 경험해 본 사람은 57만7,000명에 달한다.
노숙자 급증의 배경으로는 주거비용 폭등이 지목된다. 팬데믹 기간에는 연방정부나 지방정부가 각종 지원금을 지급한 데다가 세입자가 주택 임대료를 내지 못할 경우에도 퇴거를 제한하는 등의 정책을 도입했지만, 이 같은 보호조치가 중단되면서 경제적 약자의 부담이 커졌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 내 30여개 도시의 세입자 퇴거 상황을 추적하는 프린스턴대 연구팀에 따르면 올해 대부분의 지역에서 예년 평균을 뛰어넘는 세입자 퇴거가 이뤄지고 있다. 뉴욕의 경우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집행된 주택 세입자 퇴거 건수가 5,89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1,640건의 3배가 넘는 규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