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차남 특검, 4차 기소…미 대선 커지는 사법 리스크

2023-08-14 (월) 12:00:00
크게 작게

▶ 헌터 바이든 수사 특별검사 지명

▶ 공화당, 바이든 탄핵소추안 발의

내년 11월 미국 대선에서 ‘리턴 매치’ 대결이 유력한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의 경우, 5년간 이어진 차남 헌터 바이든에 대한 검찰 수사가 종지부를 찍긴커녕 특별검사 수사 체제로 전환되는 악재를 맞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20년 대선 직후 조지아주(州) 개표 결과를 뒤집기 위해 압박을 가한 의혹으로 네 번째 기소를 코앞에 두게 됐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메릭 갈런드 미 법무장관은 11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헌터의 재정·사업 거래 관련 의혹을 수사해 온 데이비드 웨이스 델라웨어주 연방검사장을 특별검사로 지명한다고 밝혔다. 사실상 마무리 수순을 밟고 있던 수사가 새 국면을 맞게 된 셈이다.

바이든 대통령의 ‘아들 의혹’을 집중 공격해 온 공화당에는 상당한 호재였다. 바이든 행정부의 수사 외압 의혹을 제기하는 데 설득력을 얻었고,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까지 나서 바이든 대통령 탄핵을 거론했다. 이번 특검 지명은 이 같은 기류를 감안한 조치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정부가 (수사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우려를 불식하려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공화당은 특검 지명도 ‘방탄용’이라며 공세를 이어갔다. 웨이스 특검은 트럼프 행정부 때 임명된 검사장으로, 지난해 9월 공화당 상원의원 30여 명이 갈런드 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특검으로 지명하라’고 요청한 인물이다. 그럼에도 최근 헌터와의 유죄 협상을 빌미로 총공격에 나선 것이다. 바이든 일가의 부패 의혹을 조사 중인 하원 세입위원회 위원장인 제이슨 스미스 하원의원(공화)은 “특검 임명은 우리 조사를 방해하고, 속도를 늦추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