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없이 집안 습도 조절하는 법
일교차가 크고 저녁엔 제법 칼바람이 부는 계절이 왔어요.
겨울에는 공기가 건조하고, 이 때문에 통증이나 염증이 잘 생기고
비염 등의 기관지 질환 증상이 심해지곤 하는데요.
건조한 공기로 인해 목과 코가 건조해지기 때문에
코피가 나는 경우도 있고, 피부 건강에도 좋지 않습니다.
건조한 피부는 빠른 노화를 부르기 때문에
실내 습도 관리에 신경을 써주셔야 해요.
하지만 가습기는 주기적인 세척과 관리가 필요해서
사용이 꺼려지는 분들 계실 텐데요.
집이 건조할 때 가습기 없이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실내에 빨래를 널어놓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방법인데요.
빨래에 있는 수분이 마르는 과정에서 공기로 증발해
가습기와 같이 습도를 올리는 효과를 볼 수가 있습니다.
꼭 빨래가 아니더라도, 수건에 물을 적셔 머리맡에 놓거나
두르고 자는 방법도 습도를 올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두 번째
집안에 식물을 키우는 방법인데요.
식물은 수분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호흡을 하면서
수분을 내보내고 습도를 유지시켜준다고 합니다.
이처럼 가습효과가 있는 식물들에는 선인장류, 행운목, 아레카야자,
스투키 가든, 칼라 홍콩야자 등이 있는데
보기에도 좋아 집안 인테리어에도 긍정적이겠죠.
잎이 넓은 식물일수록 효과도 뛰어나지만,
방의 1/10 정도의 작은 식물로도
방의 습도가 10% 상승하는 효과를 보인다고 하니
가습기가 없을 때 활용하면 좋을 것 같아요.
식물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솔방울을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천연재료로 쉽게 구할 수 있어 좋은데요.
끓는 물에 베이킹소다나 소금을 넣어 솔방울을 세척하고
한 시간 정도 깨끗한 물에 솔방울을 넣어 두어
물을 머금어 완전히 오므려지면 꺼내주세요.
접시 등에 담아 건조한 공간에 두면 끝!
수분이 날아가면서 솔방울이 완전히 펴지면
다시 물에 담가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흔히 숯은 제습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고 계실 텐데요.
이 숯은 습도 조절에도 유용하고, 공기정화와 탈취효과도 있습니다.
숯에 물을 뿌려서 사용하거나 그릇에 물을 담아준 후
숯을 넣어서 사용해도 좋습니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햇빛에 숯을 말려두시는 것이 좋아요.
또 달걀 껍데기를 이용한 방법이 있는데요.
달걀 껍데기는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구멍들이 있습니다.
구멍을 통해 수분이 증발하며 습도를 올려주는 것이죠!
가습기 대신 활용할 수 있는 습도 조절 팁!
간단하게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니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