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마리화나 흡연자, 코로나에 특히 위험”
2020-04-25 (토) 12:00:00
하은선 기자
▶ “점막세포 손상으로 바이러스 차단에 취약, 감염되기도 쉽고 중증화 가능성 더 높아”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인 확산세를 보이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정원을 가꾸고 비디오 게임을 하며 담배를 피는 사람들이 많다. 마리화나 베이핑(vaping)을 하기도 한다.
호흡기를 통해 폐를 공격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인 코로나19는 흡연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과학적 연구가 초기단계이긴 하나 전문가들은 코로나19 감염증에 걸리기 쉽고 중증화되기 쉬운 인자로 흡연을 고위험군에 포함시켰다.
USC 켁 의대 중증폐질환치료 전문의 리차드 카스트리오타 박사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시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인공호흡기를 더 필요로 하고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흡연이 폐에 손상을 가져온다는 전문가들의 연구는 폐를 주로 공격하는 코로나19에 감염된 흡연자가 다른 호흡기 기저질환을 앓는 환자처럼 병세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과학적 연구조사
코로나19에 대한 초기 과학적 연구는 정반대의 결과를 내놓았다. 일부 보고서에 따르면 흡연은 코로나19 감염 시 부작용 증가와 관련이 없다며 화가 데이빗 호크니를 예를 들면서 흡연으로 바이러스 면역이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UC 샌프란시스코 담배 연구 교육센터 스탠튼 글랜츠 소장은 담배와 베이핑 옹호론자들이 주장하는 눈가림이라며 12가지 연구조사를 메타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담배나 마리화나를 피우거나 베이핑을 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글랜츠 소장은 2가지 연구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중증 폐질환 위험이 2배 높았고 위험을 4배 증가시킨다는 중국의 연구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또, 코로나19 사망자 중 9%가 현재 흡연자라는 연구 조사를 언급했다.
UCLA병원 중증 폐질환 전문의 캐더리 미라미드 박사는 “흡연은 우리 몸에 침투하는 세균과 바이러스 등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점막세포를 손상시키므로 비흡연자들에 비해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높인다”고 경고했다. 이어 점막세포에 분포된 섬모(솜털)가 바이러스를 걸러 우리 몸 밖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데 섬모가 니코틴에 의해 파괴되면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베이핑
베이핑이나 전자담배를 피운 코로나19 감염자의 진행 상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지만 전문가들은 흡연자들과 유사할 것으로 추측했다. 글랜츠 박사는 “베이핑은 흡연과 동일한 위험성을 지닌다”고 밝혔다.
■마리화나
의료용 마리화나 메시지보드는 가능하면 식용 혹은 팅크제로 마리화나를 복용하라고 권고한다. 의료용 마리화나 옹호자이자 가정주치의인 피터 그린스푼 박사는 “하루에 담배 2갑을 피우는 것은 한달에 마리화나 흡입을 한 모금 한 것보다 건강에 해롭다. 그러나 어떤 형태이든 연기를 들이마시면 폐의 내벽을 자극시키게 된다. 폐의 내벽을 자극하는 행위는 폐를 공격하는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 질환의 사망률을 높인다는 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사실”이라고 밝혔다.
캘리포니아에서 마리화나 판매는 팬데믹 동안 호황을 보이고 있다. 그린스푼 박사는 공공보건의 위기는 많은 환자들에게 불안감 고조를 초래할 수 있어 마리화나를 치료에 이용한다며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들은 복용량을 낮추어 천천히 시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간접흡연
글랜츠 박사는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바이러스를 더 많이 배출하는 건 아니지만 기침은 훨씬 더 많이 한다는 연구조사를 언급했다. 그는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 연기를 통한 바이러스 전파가 특별히 더 높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자들이 내뿜는 에어로졸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자담배 사용자들은 다른 사람에게 에어로졸을 노출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글랜츠 박사는 간접흡연에 노출된 사람들이 결핵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것처럼 면역 억제효과의 관점에서라도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하은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