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한국학원 해법 총영사의 ‘무리수’

2018-08-22 (수) 12:00:00 김상목 기자
크게 작게
한국학원 해법 총영사의 ‘무리수’

지난 20일 열린 윌셔사립초등학교 활용 방안 공청회에서 남가주 한국학원 소속 한글학교 교사가 강한 어조로 발언을 하고 있다. <박상혁 기자>

지난 20일 열린 남가주 한국학원 건물 활용을 위한 한인사회 공청회에 150여 한인들이 참석해 관심을 반영했다.

처음 열리는 공청회인 만큼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고 일부 참석자들은 이런 사태까지 오게 된 남가주 한국학원 운영에 대한 아쉬움도 토로했다. 모두 남가주 한국학원에 대한 한인들의 관심 때문으로 해석됐다.

그러나 최근 이곳저곳에서 돌출성 발언으로 한인들로부터 ‘좌충우돌 총영사’라는 지적을 받고 있는 김완중 총영사의 발언은 기자의 귀를 의심케 했다.


마이크를 잡은 김 총영사는 “남가주 한국학원 측이 총영사관이 제시한 두 가지 대안(한국교육원 별관으로 활용, 한국문화원 별관성격의 코리아 하우스‘ 건립안)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국정부가 거액을 지원할 수 있다”며 “남가주한국학원이 자체 대안을 고집한다면 한국정부는 더 이상 지원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한인사회에서 새로 구성한 이사회를 출범시켜야 지원금을 줄 수 있다”고도 말했다.

지원금을 빌미로 학교 건물 활용방안을 사실상 지시한 셈이다. 듣기에 따라서는 부지 소유권을 아예 총영사관 측에 넘기라는 요구처럼 들렸다. 이사회 구성도 새로 하라는 지시처럼 느껴졌다.

이같은 발언에 대해 남가주 한국학원 한 이사는 “우리 재단이 소유한 학교건물 활용방안을 논의하는 공청회였는데 총영사가 책임을 추궁하는 것처럼 느껴졌다”며 “특히 지원금에 목멘 한인단체처럼 매도된 것 같아 불쾌했다”고 말했다.

공청회를 지켜 본 한 한인은 “총영사가 거액의 지원금을 거머쥐고 (단체에) 주고 안주고 하는 자리인가”라고 반문했다.

총영사는 남가주 한국학원의 관리 주체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 교육영사가 참석하는 이사회의 한 구성원일 뿐이다.

지원금을 받고 안 받고는 1차적으로 남가주 한국한국학원 이사회가 결정한 후 한국의 뿌리 교육을 위해 모국으로부터 지원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총영사관을 통해 지원금을 신청하고, 총영사관은 신청이 타당하다고 판단되면 한국의 해당 부서에 요청하면 된다.


만약 이사회가 재정적인 면이나 운영적인 면에서 더 이상 역할을 하기 힘들다고 판단해, 가칭 ‘남가주 한국학원 건물 활용을 위한 범 한인사회 비상 임시 이사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하고 거기에서 더 이상 한국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지 않고 한인사회 자체적으로 기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면 그 결정에 따르면 된다.

모든 것은 우선 현 이사회에서 결정할 몫이다. 아무리 목적이 좋더라도 과정을 무시하면 안된다. 그것이 민주적 절차다.

총영사가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그동안 있었던 남가주 한국학원 살리기 캠페인 등에 대해 살펴봤다면 한인사회가 얼마나 남가주 한국학원에 대한 애정이 있었는가를 알 수 있었을 것이다.

김 총영사의 또 한 번의 오버를 한인사회를 위한 충정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하고 싶다. 김 총영사의 스탭 조절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상목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