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티 관계자들간 이견·갈등 양상
▶ LA 시정부와 협의 창구 단일화 해야

지난 21일 유나이티드 웨이의 중재로 열린 미팅에서 한인타운 주택가 한복판 2곳이 대안 부지로 제시돼 반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7가와 호바트 공터(왼쪽)와 켄모어와 9가 인근 철거 예정 주택의 모습. [남희윤 기자]
LA 시정부가 주민 의견 수렴 없이 강행해 온 LA 한인타운에 노숙자 임시 주거시설 설치 방안의 파문 확산 속에 이 문제의 실마리를 풀기 위해 지난 21일 열린 한인 단체들과 허브 웨슨 LA 시의장과의 회동(본보 21일자 보도)에서 2곳의 대안 부지들이 제시됐으나 기존의 버몬트와 7가 시유지보다 더 한인타운 복판의 주택가에 위치한 장소인 것으로 나타나 원안보다 더욱 부적절하다는 커뮤니티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한인 단체장들과 일부 노숙자 시설 반대 단체 관계자들 간 이견과 갈등이 노출되는 등 비효율적인 대응이 이어지면서 향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중구난방식 대응을 막고 LA 한인회를 중심으로 한 한인 단체들 연합 대책기구로 노숙자 시설 문제 대처 창구를 일원화해 뚜렷한 원칙과 전략을 가지고 향후 법적 대응 등을 일관되게 해야 할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대안 부지 더 문제
21일 긴급 미팅에 참석한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날 중재역을 맡은 주류사회 비영리단체 ‘유나이티드 웨이’ 측은 10지구에서 노숙자 임시 거주시설로 고려될 수 있는 추가 대안 부지로 ▲7가와 호바트 코너의 공터(688 S. Hobard Blvd.)와 ▲켄모어와 9가 인근의 주택 부지(935 S. Kenmore Ave.) 등 2곳을 제시했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번화한 상업지구 장소도 문제인데 새 장소로 한인타운 중심으로 더 들어와 주택가 한복판을 노숙자 시설로 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특히 노숙자 시설 문제가 주민 의견 수렴 없이 강행돼 반대하고 있는데 무슨 근거로 또 다른 한인타운 내 부지를 대안으로 내는 지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미팅 참석 단체장들에 따르면 유나이티드 웨이 측도 대안 부지 선정에 10지구 내 다른 지역이 아닌 아예 한인타운 구역만을 고려했다고 인정하며, 그 이유로 “한인타운이 노숙자 수가 많다”는 시정부 측의 주장을 되풀이했다는 것이다.
■한인타운 외곽 부지 가능성은
로라 전 LA 한인회장, 한미연합회 방준영 사무국장, 한인타운청소년회관(KYCC) 스티브 강 대외협력국장 등이 참석한 이날 미팅에서 한인 단체장들은 웨슨 시의장에게 한인타운 외에 10지구 전역에 걸쳐 노숙자 임시 거주시설 최종 후보지를 검토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웨슨 시의장은 명확한 답변은 하지 않았으나, 한인 단체장들의 반발에 유나이티드 웨이 측은 이번 주말까지 대안 부지 고려 대상을 한인타운 외 10지구 전역으로 확대 후보지들을 다시 제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단체장들은 전했다.
웨슨 시의장은 또 이같은 대체 장소들을 포함한 후보지들을 모두 포함시킨 10지구 노숙자 임시 거주시설 설치 조례안을 다음주 시의회에 상정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한인타운 커뮤니티의 의견 수렴 요구와 관련해서는 8월 중에 주민 공청회를 실시하겠다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LA 한인회는 오는 25일 오전 11시30분 한인회에서 한인 단체장 긴급 회의를 갖고 현안 대처를 위한 의견을 하나로 모으겠다고 밝혔다.
■창구 단일화·일관적 대응 중요
이에 대해 한인타운 노숙자 임시 거주시설 문제 해결에 있어 LA 시정부와의 논의와 협의 창구를 LA 한인회를 중심으로 한 한인 단체들 연합 대책기구로 일원화하고, 한인타운 내 대안 부지는 안 된다는 원칙을 가지고 조직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부 한인 관계자들이 무조건적인 시위나 개별적 소송 등 중구남방식 대응으로 한인사회의 조직적 대처 대열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인사회의 합의된 요구가 관철되지 않고 시정부가 타운내 노숙자 시설 설치를 강행할 경우 향후 법적 소송까지 포함한 일관된 대응을 벌여야 한다는 게 커뮤니티의 요구다.
한 단체 관계자는 “당초 버몬트+7가 방안보다 더 나쁜 한인타운 내 대안 부지는 한인타운 커뮤니티가 받아들일 수 없는 사안임을 강조하며 한인회 등 한인 단체장들의 구심점을 만들고 단일 대오를 형성해 일관되게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김철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