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끊임없는 내분에 비영리단체 등록 갱신 방치
▶ 사무국 직원들 모두 사표 총체적 운영 부실

지난해 열린 축제재단 이사회에서 이사들끼리 언쟁을 벌이고 있는 모습.
LA 한인사회의 대표적인 비영리단체 중 하나인 LA 한인축제재단(이하 축제재단)이 비영리단체 감독 기관인 캘리포니아 주 검찰로부터 세금보고 서류 미비 및 등록 갱신 수수료 미납을 이유로 등록 박탈 경고를 받은 것으로 드러나면서(본보 20일자 A1면 보도) 축제재단의 운영 상황에 대한 한인사회의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 몇 년 간 이사회 내에서 전·현직 회장이나 이사들 간 내분으로 소송 직전까지 가는 분란이 이어져온데다 최근에는 잇단 자격 박탈 논란 등으로 재단 내부가 시끄러운 상황에서 비영리단체 자격 유지 절차마저 제대로 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축제재단 무용론’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의 분란 속에 재단 이사회는 지난 18일 긴급이사회에서 내분 사태를 봉합하는 모양새를 갖췄지만 잇단 사무국 직원 이탈에다 주 검찰 규제 통보 등 악재가 겹치면서 축제재단의 위상은 바닥까지 추락한 상태다.
■무슨 일이 있었나
주 검찰은 지난 12월14일자로 보낸 통고서에서 축제재단이 비영리단체 자격 유지를 위해 제출이 의무화돼 있는 세금보고 관련 서류(IRS Form 990) 2016년 회계연도 분을 1년이 넘도록 내지 않고 있고, 2014년과 2015년도 세금보고 관련 서류도 스케줄 B를 첨부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재단이 75달러 정도의 비영리단체 등록 갱신 수수료도 납부하지 않았다고 주 검찰은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부터 축재재단의 회계를 맡고 있는 셸리 김 CPA는 “지난 3년치 세금보고를 누락했다는 주 검찰의 지적은 사실과 다르다. 연방과 가주에 각각 보고해야 하는 세금관련 보고는 모두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 단, 등록국에 갱신해야 하는 작업과 일부 연례보고 서류가 누락됐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주 검찰로부터 지적받은 부분을 수정하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지미 리 축제재단 회장은 “사무국과의 업무처리 과정에서 행정적으로 실수가 있는 부분에 대해 잘못을 인지하고 등록 갱신 수수료 등 실수한 부분을 처리하고 있다”며 “조만간 정지된 재단의 비영리재단 자격은 다시 복구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무국 유명무실
지난해 축제재단은 이사들 간 내홍을 겪으면서 사무국장과 부국장이 모두 사임한데 이어 축제운영 전반에 관여했던 사무국 직원들이 모두 사표를 제출하는 등 사실상 사무국 운영이 전혀 제대로 되지 못하는 상태가 이어져왔다.
특히 매년 연례적으로 이루어지는 재단의 비영리단체 자격 갱신 작업의 경우 사무국이 처리해야 할 일이지만 직원들의 이탈 현상이 심해짐에 따라 사무국 업무의 연속성이 결여된 결과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한 비영리재단 사무국장은 “한인타운 봉사단체들의 경우 회장은 1년에서 2년 주기로 바뀌기 때문에 사무국 중심의 운영이 요구된다”며 “축제재단의 경우 지난 2~3년간 사무국장 등 직원 이탈이 심해 결국 업무 연속성이 단절됐기 때문에 비영리자격 갱신 및 서류제출 누락 등 박탈과 같은 황당한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근본은 자질 문제
그러나 연간 예산이 100만여 달러에 달하는 한인사회 내 대형 비영리단체의 하나인 축제재단이 이처럼 운영에 난맥상을 보여온 사실이 드러나면서 한인사회에서는 재단 관계자들의 자질 부족 문제 등이 해결돼 축제재단이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운영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한인 단체 관계자는 “축제재단 이사회가 내부에서 서로 싸움만 하는 모습을 보이더니 비영리단체 자격 유지도 제대로 못하는 지경이 이른 것 같아 한심하다”며 “차제에 재단 체질을 과감히 혁신해 자질을 높이고 비영리단체 본연의 모습으로 단체를 재정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김철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