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적극적으로 외국자본 유치 나선 인도정부

2018-01-15 (월) 한국일보-New York Tiems 특약
작게 크게

▶ ‘인도산 부품 30% 사용’ 규정 유예, 애플 등 기업들 직접 진출 길 열려

▶ 경제 위해 정치적 위험 무릅쓴 고육책

적극적으로 외국자본 유치 나선 인도정부

인도 뉴델리의 애플 아이패드 광고. 인도정부는 단일브랜드 외국기업의 인도 내 매장개설을 어렵게 해 온 규제를 완화한다고 발표했다. <뉴욕타임스>

적극적으로 외국자본 유치 나선 인도정부

지난 2016년 나렌드라 모디 인도총리를 예방한 팀 쿡 애플 회장. 애플은 규제완화를 위해 수년간 인도정부를 상대로 로비를 벌여왔다. <뉴욕타임스>


<뭄바이, 인도> 인도 중앙정부는 지난 10일 둔화되고 있는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외국투자와 관련한 규제조항들을 대폭 완화하는 조치들을 발표했다. 대상 부문에는 소매와 항공사업 등이 포함됐다.

인도정부의 이런 조치는 애플을 비롯한 많은 외국기업들에게 12억 인구 시장에서 자신들의 소매사업을 대폭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매부분 변화와 함께 인도정부는 현재 재정적 어려움에 빠져있는 국영항공사인 에어 인디아의 지분 49%까지 외국항공사들이 매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인도정부는 그동안 인도 경제를 외국기업들에 개방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들을 취해왔으며 이날 발표 또한 그런 조치들 가운데 하나이다. 지난 3월31일로 끝난 회계연도 기간 중 인도에 대한 외국투자는 600억달러에 달했다. 이는 이전 회계연도에 비해 8%가 늘어난 것이다. 인도정부는 성명을 통해 이런 변화가 “투자와 소득, 그리고 고용 성장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본 조치의 수혜자 가운데 하나가 애플이다 애플은 인도에 스토어들을 개설하기 위해 오래 노력해왔다. 애플의 인도시장 점유율은 미미하다. 인도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폰 20개 가운데 하나 꼴에 불과하다. 애플폰은 애플이 직접 팔 수 없으며 제3자 업소들에 의해서만 판매되고 있다.

애플과 다른 다국적 소매기업들은 수년 간 관련규정 완화를 위해 인도정부를 상대로 로비를 해왔다. 관련규정은 외국 소유인 단일 브랜드 업체들은 인도에서 판매되는 제품 가치의 30% 이상을 인도 공급업체로부터 구입해야만 하도록 못 박고 있다. 애플은 단기적으로는 30% 규정은 맞추기가 불가능하다고 항변해왔다. 거의 모든 제품들을 중국에서 제조하고 그곳에서 필요부품들을 조달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애플은 부품 공급 체인이 전 세계적으로 퍼져있기는 하지만 인도 전자산업은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질과 양의 부품을 공급할 수 없다고 인도정부에 강조해 왔다. 인도 셀폰 업체들조차 수입부품을 사용해 조립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조치로 이런 문제가 상당 부분 풀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시적이긴 하지만 인도정부는 전적으로 외국소유인 단일브랜드가 인도에서 제조된 상품을 구입해 외국에서 판매하는 방식으로 30% 규정을 준수해도 되도록 규정을 바꿨다.

예를 들어 애플이 인도에서 1억달러어치 제품을 판다면 인도산 가죽케이스를 3,000만달러어치 구입해 다른 나라에서 파는 것으로도 이 규정을 지킬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에 더해 외국 단일브랜드 업체는 업소 오픈과 관련한 정부승인을 받지 않아도 된다. 한 회계법인 파트너는 “이번 발표는 조였던 숨통을 풀어주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애플은 이번 발표와 관련한 논평을 하지 않았다. 애플은 그동안 인도에 오픈할 첫 업소들의 부지를 물색해 왔다. 팀 쿡 회장은 지난 11월 투자자들에게 소매업소 오픈은 인도 관련 전략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인도에서는 저렴한 안드로이드 핸드셋이 압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유니클로 같은 단일브랜드 의류 및 신발업체들도 인도시장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스웨덴의 거대 가구업체인 이케아 역시 지난 5년 반 동안 인도매장 오픈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 업체 역시 관건은 30% 규정을 맞추는 일이었다. 하지만 새로운 완화조치가 발표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기가 훨씬 수월해졌다.

케네스 콜과 마크스 & 스페서, 그리고 테스코 같은 외국 브랜드들은 지역 기업들과의 합자형식을 통해 이미 인도에서 영업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역시 독자적 영업에 훨씬 더 매력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시장을 외국기업들에게 개방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대단히 민감한 문제이다. 특히 고용 문제가 유권자들에게 민감한 이슈이기 때문이다. 인도 업주연맹은 이번 인도정부의 조치로 다국적 기업들의 인도 진출이 너무 쉬워지게 됐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7,000만 업소를 대표하는 이 단체의 회장인 발 크리슈나 바르티아는 “이런 기업들의 진출로 많은 인도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국일보-New York Tiems 특약>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