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태양광 발전, 원자력·석탄보다 일자리 창출 효과 높아”

2017-10-21 (토)
작게 크게

▶ 산업연구원 보고서 “태양광, 진입장벽 낮아 중소기업·개인도 진출”

“태양광 발전, 원자력·석탄보다 일자리 창출 효과 높아”
태양광 발전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원자력이나 화력 발전보다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21일 발표한 '태양광융합산업,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창출과 균형발전에 기여' 보고서에서 "원자력과 화력 발전 등은 일자리 창출 효과가 미흡하지만 태양광 발전은 100만 달러를 투자할 때 15.7명의 일자리가 생길 정도로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다"고 밝혔다.

원자력발전에 우호적인 미국 원자력에너지연구소의 2014년 보고서에 따르면 원자력은 1천메가와트(MWe)당 500명의 일자리가 창출되지만, 태양광은 1천MWe당 1천60명으로 두 배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된다. 석탄화력은 190명, 가스발전은 50명이다.



특히 보고서는 태양광은 중소기업도 참여가 가능한 일자리 창출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원자력은 대기업과 첨단기술자 중심으로 진입장벽이 높고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 대규모 발전사업이지만, 태양광은 설치 공간이나 필요한 기술 등의 제약이 원자력이나 화력보다 낮아 중소기업이나 개인도 할 수 있다.

보고서는 또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전력생산 비중을 차지하는 원자력발전이나 화력발전은 송배전망 비효율성이 크지만, 태양광 발전은 분산전원으로 이런 비효율성이 낮다고 강조했다.

주로 인구밀집 지역에서 떨어진 원전과 화력은 발전소에서 만든 전력을 먼 거리까지 보내는 비용이 상당하지만, 태양광은 집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한 패널에서 전력을 생산해 바로 쓰기 때문이다.

생산된 지역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어 밀양 송전탑 사례와 같은 송배전망 설치를 둘러싼 지역 간 갈등이나 환경 파괴 가능성이 작다.

우리나라는 경상북도와 전라남도에 발전소가 주로 위치해 이들 지역이 발전소의 사고·환경 위험 등에 노출돼 있지만, 생산된 전력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대도시에서 주로 소비돼 생산지역과 소비지역의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있다.

보고서는 2010년 킬로와트시(kWh)당 500원을 상회했던 태양광 발전단가가 매년 20% 이상 하락해 2023년께 kWh당 50~60원 수준으로 하락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에너지 소비가 집중되는 피크시간의 에너지 확보와 효율성이 중요한데 태양광은 피크시간(낮)에 전력이 가장 많이 생산되는 특성이 있어 전력 과설비 문제 해결에 효율적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