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중독, 뇌 조절능력 떨어져
2017-10-09 (월) 12:00:00
스마트폰에 중독된 사람들은 뇌의 조절능력이 떨어져 상대방의 표정 변화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이는 스마트폰 중독이 평상시에도 의사소통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은 스마트폰 중독군 25명과 정상 사용군 27명을 대상으로 상대방의 표정 변화(정서 차이)에 따른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각각의 실험 참여자들을 MRI 장치에 6∼7분씩 누워있게 한 다음 모니터 화면을 통해 다른 사람의 웃는 얼굴과 화난 얼굴을 번갈아 제시했다. 이는 스마트폰 중독자가 누군가와 대화를 나눌 때 상대방의 표정 변화에 정상적으로 반응하는지를 보기 위한 것이다.
이 결과 스마트폰 중독군은 화난 얼굴이 제시된 후의 반응 정도(민감도)가 정상 사용군보다 떨어졌다 특히 뇌기능 MRI 영상에서는 갈등의 탐지와 조절에 관련된 뇌 속 ‘배외측전전두피질’과 ‘전대상피질’에서 상대적으로 저하된 뇌활성화가 관측됐다.
또 스마트폰 중독군은 상대방의 얼굴 변화에 따른 정서전환이 일어날 때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좌측 상측두구’와 ‘우측 측두-두정 접합 영역’에서도 뇌의 활성도가 떨어지는 특징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