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뉴욕협의회 신청이 마감된 가운데 평통 자문위원 구성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올해 신청자 접수 결과 미국내 일부 지역에서 신청자 미달사태가 발생하고 대다수 협의회에서 저조한 경쟁률을 보이자 자문위원수를 대폭 줄여야 한다는 ‘축소론’이 나오는가 하면 일부 평통위원 신청자들의 자질을 거론하며 과연 평통이 필요하냐는 ‘무용론’까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것.
실례로 뉴욕총영사관은 지난 9일 17기 뉴욕평통 자문위원 후보자 신청을 마감했으나, 이례적으로 구체적인 신청자 수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유인 즉 경쟁률이 낮다보니 일부만 낙선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연출되면서 자칫 심사후 낙선자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총영사관은 당초 6일 후보자 신청을 마감할 예정이었으나 전체 자문위원 가운데 일정비율 이상 참여시켜야 하는 여성지원자와 40세 미만 청장년층 지원자의 신청이 저조하다는 이유로 뒤늦게 연장하는 해프닝을 벌이기도 했다.
뉴욕 평통 모집 경쟁률은 예년의 경우 보통 2대1을 웃돌았지만 지난 15기 때부터 1.5대1 안팎으로 대폭 낮아진 상태다. 이 같은 현상은 뉴욕 뿐 아니라 다른 지역들도 마찬가지로 LA평통 경우 1.31대1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평통에 대한 참여도와 인기가 갈수록 낮아지자 일각에서는 지역별로 100~200명 선에 달하는 정원을 대폭 축소하거나 연임 횟수에 제한을 두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한국 평통 사무처가 처음 가입한 위원이 아닌 일정기간을 쉬다 재임명된 위원들까지 모두 신규위원으로 구분하는 것도 평통 개혁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 평통 관계자는 “무보수 명예직인 평통자문위원의 정원이 너무 많다”며 “정원을 줄이는 대신 차세대와 참신한 인재들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이 논의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부 평통 위원 신청자들의 자질에 대한 지적도 여전하다.
한 한인 인사는 “평통위원이라는 직함을 자녀 혼사 때 내세우는 자랑거리 정도로 생각하는 등 무슨 감투로 여기는 인사들이 아직도 많은 것 같다”며 “과연 이러한 사람들이 통일에 대한 관심이나 전문성이 있고, 커뮤니티 봉사에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러울 따름”이라고 말했다.<조진우·김철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