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두 가지 경제와 싸우고 있다. ‘디레버리지’(부채 줄이기)로 인한 자산가치 하락과 침체경기 국면에 놓인 미국과 유로 국가들은 디플레이션에 빠지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고 중국과 인디아와 같은 신흥 수출국들은 자산가치의 상승과 호황이 초래시킨 인플레이션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
미국의 디플레이션은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의 불경기에서 엄습해 온 것이기도 하지만 인구 경제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도 디플레이션 성향을 내포하고 있다. 2010년은 지난 30년 동안 강력한 구매력을 발휘했던 베이비부머들이 공식적으로 은퇴를 시작하는 해이다. 그들의 은퇴는 노동력과 소비의 감소를 동반함으로써 정부는 앞으로 고질적인 경기둔화와 물가하락 현상과 싸우게 된다.
일본은 1989년 이후 긴 세월에 거쳐 미국이 앞으로 맞이하게 될 디플레이션 경제를 이미 경험한 바 있다. 다만 미국은 일본과는 달리 초공격적인 양적통화 완화정책(QE)을 통해 디플레이션과의 정면대결을 주저하지 않고 있다.
한편 2008~09년의 서방 선진국가의 불경기에 대응함과 동시에 국내 수요를 부양하기 위해 펼쳤던 중국의 팽창정책은 이제 인플레이션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한 예로 지난 10월 중국의 곡물가는 50%가 넘게 치솟았고 베이징의 11월 부동산 임대료는 지난해에 비해 23% 뛰어올랐다. 개인 저축률이 높고 아직도 대다수 국민들의 소득이 빈약한 중국은 인플레이션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국가로 알려져 있다. 중국 정부는 아직도 금리를 올리거나 위안화의 평가절상을 최대한 미루고 있기는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긴축정책을 피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중국의 금리인상과 위안화의 가치절상은 중국 상품의 가격을 올리는 작용을 한다. 그것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미국의 중산층에게는 좋은 소식이 될 수 없다. 장기화된 경기침체로 이미 구매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중국산 생필품들의 가격상승은 비부유층 국민들의 가계에 타격을 주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미국의 수출산업은 활기를 띠게 되고 관련 대기업들의 영업실적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좀 더 거시적인 경기회복을 기대하게 해준다. 하지만 그와 같은 시나리오의 절대 조건은 중국의 긴축정책이 자국의 팽창경제를 연착륙으로 이끄는데 성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못하면 전 세계 경제는 더블딥에 빠져들 수 있다.
2.38%까지 내렸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최근 한달반만에 3.38%로 뛰도록 FRB가 허락했던 이유도 어쩌면 중국의 위안화 가치상승과 금리인상에 대비한 선제적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QE2로 열심히 불려놓게 될 달러양이 국내에 머무르지 않고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으로 대거 탈출하게 될 부작용을 미리 예상하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최근에 반등한 달러도 2011년에 추가로 약화될 달러시세에 버퍼링 작용을 해 주게 될 것이다. 부시 감세안 연장으로 인한 추가적자가 1조달러에 가까운 상황에서 달러의 약세는 필연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인플레이션은 위안화의 평가절상을 요구해 왔던 미국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될 수는 있겠으나 미국 경제는 생필품 가격 상승과 이자율 상승 그리고 달러의 재하락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것은 미국 디플레이션의 일부를 그동안 중국이 수입해 주었고 앞으로는 중국의 인플레이션 일부를 미국이 수입해 주는 것과 같은 논리다.
GyungJe.com, (213)703-7662
토마스 박 <시너지투자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