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업소 ‘A’등급 72%… 평균 83%보다 낮아
LA카운티 보건국이 식당 위생등급제를 강화하려던 계획을 철회했다.
보건국은 업소 입구에 붙이는 A(90점 이상), B(80-89점), C(79점 이하) 등 3개 등급 사인 외에 구체적 점수를 업소 내에 추가 부착토록 하는 방향으로 등급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올해 초부터 추진해 왔으나 이에 반대하는 가주요식협회의 카운티 수퍼바이저들을 상대로 한 집중 로비에 따라 이를 일단 백지화시켰다.
협회의 한 관계자는 “당국의 추진했던 계획은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며 “만약 점수를 붙이게 되면 A를 받는 것으로 충분치 않게 돼 업주들이 어려움이 가중되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식당 등급이 임의적으로 매겨지고 위생검사 규정이 지나치게 까다롭기 때문에 아주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 요식업계 종사자들의 한결같은 말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높은 등급을 받는 식당들이 갈수록 늘어나자 보건국이 이를 막기 위해 등급제 강화를 추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A등급을 받은 업소들이 이 제도를 도입한지 1년 후에는 전체 업소의 57.6%였지만 현재는 83%로 늘었다.
보건국은 145명의 검사관들로 하여금 3만7,000개 식당, 마켓, 제과점, 식품창고 등을 맡아 위생검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는데 한인 업소의 경우 전체 통계보다는 낮은 72% 가량이 A등급을 받았다.
카운티 보건국 조나단 필딩 국장은 “1997년부터 시행된 현 시스템이 효과가 있다고 판단돼 등급제 강화 계획을 철회했지만 앞으로도 시스템 개선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위생등급은 식당의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카운티가 2001년 실시한 조사에서 B 등급 이하 식당에 가지 않겠다는 응답자가 35%, C등급 이하 식당에서는 먹지 않겠다는 응답자가 67%로 나타났다.
<김장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