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한국 주요 웹사이트들 미주한인들은‘냉대’

2003-04-18 (금) 12:00:00
크게 작게

회원가입 주민등록번호 요구
일부는 “신원증명 보내라”
“인터넷 시대 역행”비판 거세

한국의 많은 인터넷 웹사이트들이 600만 해외 한인들에게는 닫혀 있다. 회원가입에 한국의 주민등록번호등을 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해외한인들은 이용할 길이 없다. 정보의 열린 공간을 지향하는 인터넷 시대에 한국의 많은 사이트들이 폐쇄적인 운영방식을 고집하는 바람에 오히려 정보의 흐름을 차단하고 있고, 그 불편함은 일차적으로 한국어를 아는 해외동포이 겪고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사용이 능숙한 웹 서퍼인 타운 회사원 김모(40)씨의 경우 많은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얻지만 한국 사이트를 이용하다 보면 화가 치밀 때가 많다. 필요한 정보를 찾았다 싶어 클릭하면 회원가입을 요구하고, 절차를 따라 가입을 하려 하면 실명확인 단계에서 막히거나 이를 통과했다해도 신원을 증명할 수 있는 내용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포기하고 만다.


최근 들어 한국 웹사이트 방문이 부쩍 잦아진 1.5세 양모(28)씨도 비슷한 케이스다. 채팅과 음악 등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사이트를 이용해보려 했지만 가입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았다.

양씨는 “유료 사이트가 아닌 이상 미국 사이트 가입은 간편한데 한국 웹사이트는 왜 이렇게 만들어놨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누구나 원하는 정보를 찾고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이 ‘정보 민주주의 시대’를 열었지만 미국의 한인 영주권, 시민권자들에게 아직 한국의 웹사이트는 해방구가 아니다.

웹사이트의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선 필수적인 ‘회원가입’ 절차가 높은 장벽이다. 대표적인 케이스가 접속건수가 높은 한 언론사의 뉴스 서비스. 기사를 찾아 클릭하면 회원가입을 요구하고 지시대로 따라가면 신원을 증명할 수 있는 현지 신분증을 복사해 팩스로 보내라는 결과에 다다른다. 신분도용 사건이 빈번한 미국에서 자신의 아이디를 함부로 노출시키는 것은 어리석은 일. “차라리 안하고 말지”라는 심정으로 포기하고 만다.

그나마 회원가입이라도 가능한 사이트는 조금 낫다. 아예 실명확인 단계를 넘지 못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문제는 말소된 주민등록등본 때문. 웹사이트의 실명확인을 위해 ‘한국신용평가정보’, ‘한국신용정보’등에서 서비스하고 있지만 편차가 심하다.

‘한국인의 한국인만을 위한’ 웹사이트의 폐쇄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면서 해외 한인, 한국내 외국인 등을 위한 가입절차도 마련해 놨지만 실제로 큰 도움은 되지 않는 상태다. 실례로 한국내 외국인과 재외동포를 위한 외국인등록번호 인식프로그램을 정보통신부에서 배포했지만 이를 다운로드 받아간 웹사이트는 많지 않아 한국내 외국인들도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다.

그나마 주민등록번호가 있던 1세와 1.5세들에겐 장벽이 낮은 편이다. 주민등록번호 자체가 없는 2세들은 해외한인을 위한 가입절차가 없는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꼭 필요한 경우라면 주민등록번호가 살아 있는 지인들의 명의를 이용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돼 버렸다.

“정보가 열린 공간이 인터넷인데 한국의 웹사이트들은 이에 역행하고 있고, 특히 600만이라는 재외동포를 위한 고려가 거의 없다”. 김씨의 지적이다.

<배형직 기자>
hjbae@koreatimes.com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